파이썬으로 데이터 주무르기 스터디&응용

Chapter2-3. 서울시 범죄 현황 분석 지도로 나타내기 (QGIS 사용편)

꿀복피그 2024. 1. 22. 15:53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지난 시간에 만든 서울시 구별 '살인', '강간', '범죄' 건수 단계구분도를 QGIS를 통해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질거예요!

저희 과에서 그동안 QGIS를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을 배웠는데

파이썬 코드를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것보다 쉽고 편리한 것 같아서 여러분한테 알려드리려 합니다!

 

오픈소스지리정보시스템으로 무료로 누구나 다운받아서 이용가능하니

여러분도 공간적 분석이 필요할 때 한번 사용해보세요!

 

1. QGIS 설치하기

 

2. 서울시 행정구역별 경계 shp 파일 다운받기

 

3. QGIS 메인화면에서 좌측 '레이어'에 올릴 데이터 불러오기

 

3-1. 구별 범죄 건수 데이터 불러오기

  • 상단의 메뉴툴바에서 레이어를 찾고 레이어 추가-구분자로 분리된 텍스트 레이어 추가를 한다.
  • 파일 이름에 지난 시간에 데이터를 조작하고 저장한 파일명(crime_in_Seoul.csv)을 찾아 입력한다. 레이어 이름과 인코딩을 지정한다.
  • 파일 포맷은 csv로 정하고 도형 정의는 '도형 없음'으로 지정한다.

레이어-레이어추가-구분자로 분리된 텍스트 레이어 추가

 

 

3-2. 서울시 행정구역 경계 shp 파일 불러오기

  • 레이어 추가 - 벡터 레이어 추가로 들어간다.
  • 파일 이름에 서울시 행정구역 shp 파일을 저장해둔 것을 입력한다.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벡터 레이어 추가

 

 

4. 지도 제작하기

 

4-1. 두 테이블 조인하기(공간 - 속성)

 

해당 단계에선 공간 데이터에 속성 데이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할거예요. 즉, 시군구 shp 파일에 시군구별 범죄수를 연결하는거죠. 두 테이블의 공통된 키를 바탕으로 두 데이터를 연결할거예요.

  • 메뉴 툴바공간 처리(C)를 누르고 공간 처리 툴박스를 연다.
  • 공간 처리 툴박스에서 벡터 일반에 들어가서 필드 값으로 속성 결합에 들어간다.
  • 필드 값으로 속성 결합에 들어가면 입력 레이어, 입력 레이어2 가 있고 테이블 필드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여기서 테이블 필드는 각 테이블에서 조인의 기준이 되는 공통된 데이터가 있는 칼럼명을 선택하는 란이예요. 즉 여기서는 행정구역명이 되겠죠? 각 테이블에서 행정구역 데이터가 담겨있는 칼럼명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 첫번째 입력 레이어에는 다른 데이터를 합칠 테이블을 선택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공간 데이터에 속성 데이터를 합쳐줄 것이므로 서울시의 시군구 shp 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 두번째 입력 레이어에는 첫번째 테이블에 합칠 테이블을 선택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서울시 행정구역별 범죄 발생 건수 테이블이겠죠? 
  • 실행을 하면 결합된 레이어가 레이어 창에 새롭게 추가될 것입니다.

 

4-2. 두 테이블 조인한 결과 확인하기

  • 결합된 레이어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속성 테이블 열기를 선택합니다.

<테이블 조인하기 전>

각 행정구역 경계만 있는 상태

<테이블 조인한 후>

각 행정구역에 범죄 건수 데이터가 합쳐진 모습

 

4-3. 조인된 시군구 shp 파일을 바탕으로 단계구분도 만들기

  • 레이어창에서 결합된 레이어에 마우스를 두고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가장 아래쪽의 속성을 클릭합니다.
  • 레이어 속성 창이 뜨면 심볼에 들어가서 단계구분도를 선택하고 값에 단계구분도로 나타내고 싶은 원하는 값의 칼럼명을 선택합니다. 이 실습에서는 '살인', '강간', '범죄' 순으로 선택하면 되겠죠?
  • 오른쪽에 있는 급간은 5로 선택합니다. 몇 개의 급간으로 값을 나눠서 단계를 구분하냐는건데 여기서는 5개의 구간으로 나눠주기로 해요.
  • 단계구분방법은 Natural break(Jenks)를 선택합니다.
  • 이렇게 설정해준 뒤에 분류 버튼을 눌러서 값들이 제대로 분류되도록 해줍니다.

 

6. 배경 지도 깔아주기 

  • 메뉼 툴바에서 QuickMapServices를 선택하고 OSM 지도를 선택하여 뒷 배경으로 깔아준다.

OSM Standard 지도를 배경으로 선택하는 모습

 

 

7. 지도 제작 결과

 

 

자,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나요?

사실 더 자세하게 알려드리고 싶었는데 이렇게 큰 틀만 알려드렸어요.

혹시 따라해보시다가

중간에 막히거나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그럼 다음 시간에 봐요 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