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드디어 파이썬의 함수에 대해 본격적으로 배워볼거예요
먼저,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입문하시는 분들은 함수가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
왜 필요한지 궁금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먼저 함수의 기능부터 설명해보자면!
특정 기능을 함수로 지정해서 언제든지 꺼내서 사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기능 단위의 함수로 분리해 놓은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그램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도 있답니다~
즉, 프로그램의 흐름을 파악하기 용이한 것이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파이썬 함수의 구조에 대해 살펴봅시다
매개변수를 받는 함수가 있고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가 있어요.
매개변수가 있다면 괄호 안에 넣어주면 되고,
없다면 괄호를 그냥 빈칸으로 놔두면 돼요!
그럼 다음 코드를 통해 살펴봅시다
data라는 매개변수를 받는 함수 func2를 정의하고,
num1 변수로 입력받은 숫자를 func2 함수의 매개변수로 받아서 출력하면!
print() 속의 형태와 함께 입력받은 수가 출력되겠죠~?
다음으론 return 값이 있는 함수에 대해 살펴볼건데요
return 값이 있는 함수는 함수가 사용된 결과를 return 값으로 보면 돼요!
형식은 다음과 같아요
아래엔 예시 코드를 짠거예요
func4() 함수는 return 값으로 다음 문장을 갖고 있고
func4() 함수를 print() 함수에 넣어서 그대로 출력해도 다음 return 문장이 나오고
다른 새로운 변수에 담아서 출력해도 같은 값이 출력됩니다!
자, 지금부터는 조금 더 deep하게 들어가서
매개변수의 개수를 모를 때, 즉 매개변수의 개수가 가변적인 함수를 만들어 봅시다.
매개변수의 개수가 확실하지 않을 때는 매개변수가 튜플 형태로 사용되거나,
딕셔너리 구조로 전달받을 수 있어요!
먼저, 튜플 형태로 전달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를 설정하고 호출하면 돼요!
변수 앞에 *을 하나만 붙여주면 변수가 튜플 형태로 저장돼요.
그리고 매개변수들의 합, 즉 튜플 안에 있는 변수들의 합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짜봤어요
위와 같이 함수를 호출하면 튜플 형태인 (3,6) 이 출력되고 return 값이 9가 출력되겠죠?
그렇다면 딕셔너리 형태로 매개변수를 받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매개변수 앞에 *을 하나 더 붙여주면 됩니다!
즉 **args 형태로 괄호 속에 넣어주면 되는거죠
한번 예제 코드를 통해 알아봅시다.
그리고 호출할 때는 위에처럼
변수 = 함수명(키 = 값1, 키=값2, ....)
형태로 호출해주면 돼요!
결국 호출되는 값은 나이인 23이 호출되겠죠?
오늘은 함수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정말 고생 많았어요!
이해 안 되는 코드 있으면 차근차근 뜯어보면서
이해해보도록 해요~
그럼 다음 시간에 볼게요 꿀!
'파이썬 여름방학 스터디 > 2.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여러가지 함수(lambda, filter, map) 와 파일 읽고 쓰기 (0) | 2023.08.28 |
---|